웹 디자이너의 인터뷰 진행기(2)

 

 

웹 디자이너의 인터뷰 진행기는 1부, 2부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1부를 먼저 구독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웹 디자이너의 인터뷰 진행기 (1부)

 

 

인터뷰 진행


인터뷰 진행 사진
이미지 출처 : https://www.mobiinside.co.kr/2021/06/23/user-interview/

 

긴 준비단계를 거친 후 본격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게 된다.

 

먼저 참고할 질문지를 작성한다.

 

인터뷰 대상자를 하나하나 분석하고 미리 알아가는 것은 아주 중요한 단계이다.
간단한 질문지를 작성한 후 인터뷰 대상자에게 미리 전달하여 답변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이다.

 

받은 답변을 토대로 질문지를 작성할 수 있으며,
바로바로 답변해야 하는 인터뷰와 달리 오랜 시간 고민할 수 있는 사전 질문지를 통해 
인터뷰 대상자의 더 깊은 생각을 들어 볼 수 있다.

 

글쓴이는 인터뷰 진행 시 인터뷰 대상자의 간단한 조사와 사전 질문지를 이용하였고,
사전 질문지를 통해 받은 답변을 토대로
간단한 질문지를 미리 작성하여 참고해가며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질문지를 지참하고 인터뷰를 진행하였지만
인터뷰 대상자의 답변을 토대로 그 자리에서 바로 생각나서 질문을 던진 것들이 더 많았던 것 같다.
그리고 준비해 간 질문도 많은 도움이 되었지만 인터뷰 대상자가 질문을 받고, 답변해 준 내용에 꼬리를 물어 
즉흥적으로 하게 되는 질문이 더 양질의 답변을 받을 수 있었다.

 

사전 질문지 제작은 보다 좋은 질문을 하기 위한 발돋움 장치가 된다고 생각한다.

 

 

인터뷰 마무리


인터뷰 마무리 사진이미지 출처 :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lovelyddu1&logNo=221024640456

 

대화를 하다 보면 인터뷰 대상자와 눈을 맞추고 이야기에 집중하다 보니 중요한 내용을 놓치게 될 때가 있다.
이런 점을 위해 인터뷰 진행시 녹음을 하는 것을 추천한다.
미리 인터뷰 대상자에게 녹음을 해도 괜찮을지 양해를 구한 뒤 녹음을 진행한다.
녹음을 하게 되면 자동으로 녹음된 내용을 타이핑하여 제공해 주는 서비스도 많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녹음된 내용을 토대로 내용을 분석하고 카테고리에 맞게 분류한다.
공통적으로 물어본 질문에 어떤 대답이 나왔는지 정리하고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데이터를 취합한다.

 

인터뷰 종료 후 가장 빠른 시일 내로 내용을 정리하는 것이 좋다.
이유는 현장이 조금이라도 더 기억에 생생하게 남아 있을 때 더 자세한 내용을 적을 수 있고,
아쉬웠던 부분들을 정리하여 다음을 더 탄탄하게 계획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터뷰를 마치며


 

서비스 리뉴얼 또는 신규 오픈을 준비하며 디자이너, 기획자 등..
여러 분야의 사람들이 사용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데이터를 수집한다는 정보는 많이 들어왔지만,
실제로 사용자 인터뷰를 진행해 본 것은 처음이었다.

 

사용자 인터뷰의 가장 큰 장점은 제작자의 입장에서는 전혀 생각해 볼 수 없는 부분에 대한 정보 습득이다.
사용자가 서비스에 대해 어떤 시선으로 바라보는지, 이용하면서 어떤 점이 좋았고 불편했는지
실제로 사용해 본 사용자의 생생한 리뷰를 들을 수 있다는 점이었다.

 

이렇게나 좋은 인터뷰를 최대한 많이 진행하면 좋겠지만, 인터뷰 진행에 있어 어려움도 존재한다.

 

가장 큰 허들은 시간이다.
사용자를 만나 값진 정보를 얻기까지 정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된다.
이번에 인터뷰를 기획에서 진행, 정리까지 대략 6개월 정도의 시간이 소모되었던 것 같다.
인터뷰에만 집중하였다면 시간을 더 축소시킬 수 있겠지만
인터뷰라는 작업 자체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작업인 것은  사실이다.

 

그만큼 값진 정보와 디자이너 로서 회사 브랜딩을 느껴본 사용자에게 소감을 들을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는 것은
시간을 들이더라도 꼭 한 번쯤은 필요한 작업이었다고 생각한다.
서비스 제작에 있어 도움을 얻기 위함으로 시작하여
목표하였던 정보는 물론,
시야가 넓어지고 브랜딩에 대해 또 다른 생각을 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0
Would love your thoughts, please comment.x
()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