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닫기

전기설비 점검이 중요한 이유

     

전기설비는 원활한 운영을 위해 반드시 안정적으로 관리되어야 합니다.

점검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화재, 감전, 장비 고장 등으로 인해 업무에 큰 차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해 점검 항목과 진행 방식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구내배전설비 점검

구내배전설비란 건물 내부에서 전력을 분배하는 설비를 말합니다.

변전소에서 공급된 전기는 수변전설비를 통해 들어온 후, 배전반과 분전반을 거쳐 각 설비와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전기가 안전하게 공급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점검이 필수적입니다.

 

주요 점검 대상

  • 수배전설비: 변압기, 차단기, 개폐기, 계기용 변성기(CT, PT) 등

  • 배전반 및 분전반: 배선 상태 및 보호장치 정상 작동 여부

  • 배선 및 부하설비: 전선 절연 상태, 차단기 이상 유무 확인

  • 접지설비: 접지저항 측정, 누전 여부 점검

 

주요 점검 항목

전기안전공사의 점검 목적은 전기설비의 안전성과 정상 작동 여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는 다양한 계측 장비를 활용하여 이상 유무를 검사합니다.

  • 절연저항 측정: 전선의 절연 상태 확인

  • 접지저항 측정: 접지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점검

  • 누설전류 측정: 감전 및 전력 손실 방지

  • 차단기 및 보호장치 동작 점검: 이상 발생 시 자동 차단 기능 확인

  • 전압, 전류, 역률 측정: 전력 사용 상태 진단

  • 열화 및 과부하 점검: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로 과열 여부 검사

 

전기안전 점검 주기 – 법적 의무 사항

전기안전관리법에 따라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은 정기검사 및 자체 점검을 수행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고압 22.9[kV] 수전설비의 경우 연 1회 이상 정기검사를 실시해야 합니다.

점검을 수행하지 않거나 결과를 무시할 경우 법적 책임 및 벌금 등의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점검결과 및 향후계획

올해 실시한 점검은 모든 항목에서 합격하였으며, 향후에도 전기설비의 안정적인 관리와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안전을 철저히 유지할 것 입니다.

전기는 점검을 소홀히 하면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우리 모두가 전기 안전을 철저히 지켜 안전한 업무 환경을 만들어 나가길 바랍니다.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0
Would love your thoughts, please comment.x
()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