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닫기

Rocky Linux 8에서 Docker로 Redash 설치하는 방법

🐳 Rocky Linux 8에서 Docker로 Redash 설치하는 방법 

Redash 설치를 가장 간단하고 빠르게 하고 싶다면 Docker 기반 설치가 정답입니다.

이 글에서는 Rocky Linux 8 환경에서 Docker와 GitHub의 setup.sh 스크립트를 활용해 Redash 설치 과정을 상세히 안내합니다.

이 설치 방식은 개발 또는 테스트 환경에 적합하며, 실 운영 환경에서는 공식 가이드를 병행해 참고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테스트 환경 소개

  • 운영체제: Rocky Linux 8 (Minimal 설치)

  • 가상화 환경: KVM 기반 VM

  • 설치 방법: Docker + 설치 스크립트 (setup.sh)

  • 웹 접속 포트: 5000번 사용

  • 도메인: 없음, IP 직접 접속


⚙️ 시스템 준비

1. 시스템 업데이트

 
 
# dnf update -y
# dnf install -y curl git

2. Docker 및 Docker Compose 설치

 
# dnf config-manager --add-repo=https://download.docker.com/linux/centos/docker-ce.repo
# dnf install -y docker-ce docker-ce-cli containerd.io
 
 Docker Compose 설치
# curl -L "https://github.com/docker/compose/releases/latest/download/docker-compose-$(uname -s)-$(uname -m)" -o /usr/local/bin/docker-compose
# chmod +x /usr/local/bin/docker-compose
 
 Docker 데몬 활성화
# systemctl start docker
# systemctl enable docker

 

 

🐘 Redash 설치 (setup.sh 스크립트 활용)

1. 설치 스크립트 다운로드

Redash 설치 스크립트를 GitHub에서 가져옵니다:

#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getredash/setup/master/setup.sh

 

2. 실행 권한 부여

스크립트 파일에 실행 권한을 부여합니다:

# chmod +x setup.sh

 

3. 설치 스크립트 실행

이제 설치 스크립트를 실행합니다:

# ./setup.sh
 

⚠️ 오류 해결:

만약 pwgen: command not found 오류가 발생하면, pwgen 패키지를 설치해야 합니다. 아래와 같이 EPEL 저장소를 활성화하고 pwgen을 설치하세요:

# dnf install -y epel-release
# dnf install -y pwgen

 

오류 발생 화면 예시

아래 이미지는 pwgen이 없을 때 발생하는 오류 화면입니다.

 

이후 다시 ./setup.sh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오류 없이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가 시작되면 자동으로 다음 항목들이 처리됩니다:

  • Docker 이미지 다운로드

  • PostgreSQL 및 Redis 설정

  • Redash 웹 서버 구성

  • 환경 변수 세팅

💡 설치 중 오류가 날 경우 로그를 통해 확인하거나, Docker 컨테이너 상태를 점검하세요.

 


 

🔍 서비스 상태 확인

Redash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아래 두 가지 명령어로 시스템과 Docker 서비스를 점검해봅니다.

1. 서비스 확인

Redash는 기본적으로 5000번 포트에서 실행됩니다. 이 포트가 열렸는지 확인하려면 netstat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여 5000번 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하세요:

# netstat -nltp
 

이 명령어는 시스템에서 열려 있는 포트를 확인하고, 5000번 포트가 열려있는지 보여줍니다. 결과에 포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Redash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것입니다.

예시 결과: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오면 5000번 포트가 정상적으로 열려 있음을 의미합니다.

 


🌐 웹 브라우저로 접속하기

설치가 완료되면 Redash는 기본적으로 포트 5000에서 실행됩니다.

 
http://[서버 IP]:5000

초기 접속 시 관리자 계정 생성 화면이 나옵니다.

이후 바로 대시보드를 만들 수 있습니다.

🖼️ redash-setup-screen.png

(alt: “Redash 설치 완료 후 첫 화면 – 관리자 계정 등록”)

 

 


🔐 방화벽 설정

서버의 5000번 포트가 열려 있지 않다면 다음 명령어로 허용합니다: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5000/tcp
sudo firewall-cmd --reload
 

🛠️ Redash 컨테이너 관리 팁

  • 로그 확인

     
    sudo docker-compose logs -f
     
  • 컨테이너 중지

     
    sudo docker-compose down
     
  • 컨테이너 상태 확인

     
    sudo docker ps
     

✅ 마무리 요약

  • setup.sh를 통해 빠르게 Redash 설치 가능

  • Docker 기반이므로 설치가 간단하고 이식성이 뛰어남

  • Redash는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에 매우 적합한 도구

다음 글에서는 PostgreSQL, MySQL 등 데이터 소스를 연결하고

대시보드를 만드는 실전 예제를 소개할 예정입니다.


🔍 SEO 키워드 요약

  • Redash 설치

  • Redash Docker 설치

  • Rocky Linux 8

  • BI 도구 추천

  • Redash setup.sh 사용법


 

https://idchowto.com/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0
Would love your thoughts, please comment.x
()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