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실 등기구의 LED 교체는 작년 부터 준비 했던 작업 입니다. LED 등기구 선택은 무엇으로 할까 하다 역시 스마일서브 하면 완제품 보다 DIY 입니다. 우선 LED 관련 부품을 선정 합니다. 어떤 형태로 LED bar를 설치 할지 정한 다음 타공해 줍니다. LED는 빚이 확산 보다는 직진성이 강하기 때문에 광원을 최대한 넓게 설치합니다. LED는 직류전원을 사용하니 교류를 직류로 바꿔줄 컨버터를 선정해야 합니다. smps 및 아답터를 여러 용량별로 테스트를 거친 다음 안정성, 발열, 경제성을 고려해 선정해 줍니다. LED의 장점은 수명 입니다.…
작년 불량 전선과 관련된 이슈가 있었습니다. 해당 전선은 알루미늄에 동을 도금 해서 제작한 것으로 쉽게 과열돼 화재의 위험이 높습니다. 바로 그 전선으로 파워 서플라이(PSU)전원 코드를 만든 것 같습니다. 얼마전 LG전자. 한국HP에서 노트북 전원코드를 리콜한 것도 같은 이유인지도 모르겠습니다. PSU 전용이기 때문에 소비 전력이 크지 않아 사고의 위험은 거의 없는 것으로 생각 됩니다만 PSU 용도외 사용 하거나 높은 소비전력의 PSU에 사용하게 되면 화재 발생 가능성이 있습니다. 저희가 사용하는 전원 코드중 불량제품을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1. 비슷한 크기의 제품과 무게를 비교 (구리보다 알루미늄이 가볍다) 2. 절단하여 도체를 확인(피복을 제거후 불을 붙이면 알루미늄은 쉽게 불에…
1월초에 다녀온 베트남 하노이는 패키지가 아닌 베낭여행은 처음 이였습니다. 관광지나 숙소, 식당등을 인터넷이나 미리 다녀온 직원들에게 도움을 받아 지도에 동선을 그려가며 스케줄을 하나하나 만들어가는 재미도…
IDC-SMILE 1센터는 하계를 제외한 계절은 급기를 통한 냉방으로 항온항습기를 최소한으로 운영 하고 있습니다. IDC 서버들은 많은 열을 배출하기 때문에 서버룸 내부는 24시간 항온 항습기가 가동 되거나 급기를 통해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공급 시켜 주어야 합니다. 중요한 것은 차가운 공기를 필요한 곳에 적절히 공급해 주는 것 그리고 더운 공기를 효과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위그림은 랙 배기 덕트를 사용하기 전.후의 공기 흐름도 입니다. 랙배기 덕트를 설치하기 전에는 랙 상부의 팬 주위의 공기, 그리고 서버에서 발생되는 열의 일부만 흡수하게되어 서버 사이의 열이 순환하게 되어 효과적이지 못했습니다. 랙배기 덕트를 설치한 후에는 서버에서 발생되는 열을 바로 흡수해 열 배출에 더욱 효과적이며, 열 배출이 개선 되면 냉방설비를 추가로 설치하는 비용, 전기요금을 절약 할수 있습니다. 이러한 작은 부분도 놓치지 않고 잘 개선하면 비용도 줄이고 환경도 살릴수 있습니다. [polldaddy rating=”7739789″]
그린 서버를 런칭 한지 1년이 지났습니다. 스마일서브 케이스 제작 10년 경험을 집약해 만들어낸 것으로 기존 서버 대비 성능은 업그레이드 , 전기 사용량은 감소 했으며 랙의 효율성이 최적화된 서버 입니다. 그린 서버를 런칭한 후의 전기사용량 비교 전기 사용량의 변화를 보면 냉방기기 및 서버 수량은 크게 변하지 않았음에도 점차 그린서버로 변경됨에 따라 전기사용은 2013년도에 비해 감소했습니다. 서버의 고효율 전원장치, CPU 및 SSD의 활용을 통해서 서버의 효율을 10 ~ 15% 이상, 또한 서버 케이스를 개선 시켜 랙 상면의 이용율이 30%이상 증가 했습니다. 여기서 한기지 아쉬운것은 그린IDC를 판단하는 기준인 PUE(전력 효율지수)를 계산하는 방법 입니다. 서버수량은 고려하지 않고, 전기 사용량만 가지고 판단 하기 때문에 그린서버 처럼 서버수량은 그대로지만 전기 사용량은 감소 하는 경우 PUE 수치는 손해보는 결과로 나타나게 됩니다. 예시) 서버수량 A = B 구분 IT 전력 그외 전력 전체 전력/IT전력 PUE A 50…
증발 냉각 시스템 페이스북 프린빌 데이터 센터의 PUE 지수 1.06 을 만들어 주는 시스템이 보면 되겠다. 국내 모 기업이 춘천에 지은 곳도 이와 비슷한 시스템으로 냉각시스템을 구축 한 것으로 알고 있으며, IDC-SMILE도 설치를 국내 업체들과 추진해 보았으나 몇가지 이유로 보류해 두고 있다. 데이터 센터 내부의 냉기통로의 온도는 약 18도 ~ 30도의 온도가 유지된다. 공기흐름 개요를 보면 1. 외부 공기 가 통풍구를 통해 흡기 2. 1공기와 데이터센터에서 복귀되어 온 공기와 섞여 필터를 통과 3.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증발/가습실에 들어가 냉각 4. 냉각된 공기는 급기팬을 통해 데이터 센터로 들어가 서버를 냉각 한다. 외부 공기라는…
가장 흥미로롭고, 아쉬움이 들었던 부분이 전원 공급 시스템 이였다. 전원 공급장치 (Power Supply Unit) 전원 공급 장치의 특이한 점은 입력 전원이 두개 라는 점이다, 각각의 AC, DC 입력 과 DC 출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UPS의 인버터를 제외 하고 DC전원을 PSU에 공급함으로서 효율성을 높인 것이다. 무정전 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공개한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