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롬 웹브라우저가 업데이트 되면서, 주로 사용하던 뒤로가기 버튼(백스페이스)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이유를 검색해보니, ‘ 가끔씩 입력 데이터 손실을 일으킬 수 있다.’라는 부분 때문으로 보입니다. 그래도 익숙한것과의…
라우팅을 공부하고 실제 망에서 사용할때 가장 많이 사용하지만 가장 어려운 프로토콜중의 하나 입니다. ospf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고 했는데 그 이유가 뭘까요? 사용하기 편해서?…
서버 비즈니스 나 웹 비즈니스를 하는 분 들이라면 페이스 북이 주도하고 많은 기업들이 참여 하고 있는 OCP (OPEN COMPUTE PROJECT http://www.opencompute.org/)를 한두번은 들어 봤을…
난 에버노트를 가장 최근에서나 사용한 초보 유저다.필요한 웹페이지 메모등의 링크 이런것 등을 디바이스간 옮겨 가며 사용 하는 데, 아주 요긴하게 사용 하고 있다. 그러나 구지 유료를…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트 방어법으로 기초적이고 간단한 방법을 기술합니다. 먼저 크로사이트 스트립트 (XSS) 에 대한 설명입니다.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트란 사이트 간 스크립팅(또는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NAS에 최근 꽂혀서(?) 결국 아래 사진과 같이 HP 마이크로서버 N36L를 중고로 구매 했다. 다양한 NAS용 OS가 있었으나, Synology라는 유명한 업체의 OS를 Xpenology를 설치함으로써 간접 경험할…
오늘은 스마일서브(정통부)에서 제공하는 IP 전송 솔루션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IP카메라의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 다양한 *전송매체를 활용할 수 있는데 각 케이스 별로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동축 전송 기존 아날로그 방식 CCTV, 케이블 방송 등에 많이 활용된 전송매체입니다. 일반적으로 IP카메라는 UTP케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동축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없습니다. 하지만 SIMC-100C와 같은 미디어 컨버터를 사용하면 UTP – 동축 – UTP 구조로 동축케이블을 통해 IP네트워크 구축이 가능합니다. 게다가 UTP의 맹점인 짧은 전송거리(100m)를 최대 1.6Km까지 확장시킬 수 있고, 기설 동축 케이블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UTP(PoE)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송매체입니다. PoE를 지원하는 장비인 경우 PoE 스위치로부터 UTP를 통해 전원과 데이터를 동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많은 IT장비들이 PoE 전원 공급 방식으로 출시되고 있습니다. PLC(전력선) 가정집이나 사무실등의 전력선에 인터넷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집안 곳 곳의 모든 콘센트가 네트워크 망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인터넷 보급이 잘되어 있어, 많이 사용되지 않지만 미국, 스페인, 유럽 등지에서는 노후된 건물에 전력선 통신 기술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LAN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지만 실제 전기가 흐르는 전력선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송속도는 다른 전송매체에 비해 느립니다. Fiber(광) STP/UTP등의 통신케이블의 데이터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장거리 전송을 하는 방식입니다. 모드(멀티/싱글)에 따라 수km ~ 수십km까지 안정적인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도로나 산업단지 등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