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CP API 생성 및 설명
이번 글에서는 개념 설명과 MCP API 생성을 위한 사전 준비 과정을 단계별로 살펴봅니다
Model Context Protocol(MCP)은 “모델에게 맥락을 제공하는 규약”입니다. AI 언어 모델이 외부 데이터나 도구에 표준화된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토콜입니다.
2024년 11월 Anthropic이 공식 발표한 이 프로토콜은, OpenAI와 Google DeepMind도 채택하면서 AI 에이전트 개발의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1-1. MCP vs LangChain Tools
기존에는 LangChain의 Tools(링크)를 통해 AI 모델에 외부 기능을 연결했습니다. 하지만 이는 LangChain/LangGraph 프레임워크에 종속되어 개발자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MCP의 차별점:
- LangChain Tools: 프레임워크 종속적, 개발자 전용
- MCP: 프레임워크 독립적, 일반 사용자도 활용 가능한 표준 프로토콜
Claude가 정의한 표준 규약만 지키면, 모든 클라이언트가 동일한 MCP 서버를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1-2. MCP 아키텍처
기본 구조
MCP는 JSON-RPC 2.0 기반의 양방향(bidirectional), 상태 유지(stateful) 통신 구조를 따릅니다.
핵심 구성 요소:
- MCP Server: 도구와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 MCP Client: AI 모델(Claude, GPT 등)을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 MCP Hosts: 클라이언트를 호스팅하는 환경
서버는 로컬 데이터 소스(데이터베이스, 파일 시스템)나 원격 서비스(Slack, Gmail 등)에 연결되어, 클라이언트에게 통일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1-3. MCP의 3가지 핵심 개념
1) Resources (리소스)
읽기 전용 데이터 제공 인터페이스
|
사용 예시:
|
2) Tools (툴)
작업 수행 인터페이스
|
사용 예시:
|
3) Prompts (프롬프트)
재사용 가능한 템플릿
- 리소스와 툴을 활용하여 AI가 효과적으로 응답을 생성하도록 유도
- 일관된 품질의 결과물을 위한 표준화된 명령어 세트
1-4. MCP 전송 방식
1) Stdio (Standard Input/Output)로컬 환경에서의 통신
|
2) SSE (Server-Sent Events)원격 환경에서의 실시간 통신
|
1-5. 활용 시나리오
1) 로컬 환경
- MCP Client (Claude Desktop 등) → MCP Server → 로컬 데이터 소스
2) 클라우드/핀테크 서비스
- MCP Client → MCP Server → 금융 서비스 API (주식 거래, ML 예측 등)
3) 원격 서비스 연동
- MCP Client → MCP Server → 외부 서비스 (Slack, Gmail, GitHub 등)
1-6. MCP의 장점
- 표준화: 한 번 만든 MCP 서버를 여러 AI 클라이언트에서 재사용
- 확장성: 새로운 도구나 데이터 소스를 쉽게 추가
- 안전성: Resources와 Tools의 명확한 구분으로 안전한 접근 제어
- 상호운용성: OpenAI, Anthropic, Google이 모두 지원하는 표준
이상 설명을 마치고 이제 간단하게 챗봇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만들기 이전에 실습에 필요한 API key들을 먼저 만들겠습니다.
이제 MCP API 생성을 해보겠습니다.
2. MCP API Key 발급
2-1. MCP API – OpenAI API Key 생성
https://openai.com/index/openai-api/
방법 1. “회원 가입” -> “구글 계정으로 계속” -> “Get started” -> “Create an API key”
방법 2. “회원 가입” -> “구글 계정으로 계속” -> 우측 상단 ⚙️ 클릭 -> 왼쪽 “API Keys”클릭 ” -> “Create new secret key”클릭
처음 회원가입시 무료 사용 가능하나 만약 이전에 사용한 이력이 있으시다면 “Billing”에서 카드 등록 및 최소 크레딧 $5 을 충전 하셔야 합니다.
키값은 메모장에 저장해둡니다.
2-2. MCP API – Gemini API KEY 생성
https://aistudio.google.com/api-keys
“Get a Gemini API Key” 클릭 -> 우측 상단 “API키 가져오기” 클릭 -> “API키 만들기”클릭 -> 이름 및 프로젝트 설정 -> 키 만들기
키값은 메모장에 저장해둡니다.
2-3. MCP API – Notion API Key 생성
https://developers.notion.com/docs/getting-started
우측 상단 “View my integrations” 클릭
이미지에서 보듯이 이름 워크페이스 등록 하시고 저장하시면됩니다.
프라이빗 API 통합 시크릿 값은 복사하여 메모장에 기록해둡니다.
1) MCP API – Notion 개인 페이지 하나도 만들도록 하겠습니다.
https://developers.notion.com/
여기서는 로그인하여 개인페이지 하나를 만듭니다.
URL 창에 보면 notion.so/내용은 개인노트의 정보입니다. 해당 내용을 미리 노트에 복사합니다.
2-4. MCP API – Tavily API Key 생성
간단하게 구글 로그인 후 API Key 생성하여 보관합니다.
2-5. IWINV 가상서버 사용
마지막으로 Model Context Protocol API 생성 과정 을 담을 서버는 iwinv 가상서버를 사용했습니다. 테스트나 본인만 이용하시는 거면 공유형 2vCPU , 2GB Memory 정도로 하겠습니다.
https://www.iwinv.kr/server/server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