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페이지에 불필요한 유저들의 접근을 제한시키고, 특정 IP 또는 대역에 대해서만 접근시키고자 할때 아파치에서 다음과 같이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 httpd.conf 또는 VirtualHost 에서…
리눅스에서 4TB 하드를 fdisk로 마운트하면, 마운트된용량이 2TB밖에 않나옵니다. 이때는 parted를 이용해서 마운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 여기서는 4TB하드 /dev/sdb/를 /backup에 마운트한다고, 가정하고 진행하겠습니다. 1. 마운트하고자하는…
리눅스 서버를 운영하다가 보면 어느순간 시간이 맞지 않다는걸 느낄수있다. 평소에 cron에 rdata 명령어로 주기적으로 맞춰주면 시간이 대부분 맞지만 timezone 이 잘못잡혀 있다면 무용지물이다 date 명령어를…
외부에서 윈도우 서버로 접근하는 방법중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기본지원되는 원격데스크톱 포트변경 방식에 대해서 안내해드립니다. 스마일서브에서는 타호스팅사 가상화 포트포워딩 설정후 접근하는 방식이 아니라 실제서비스로 바로 접근하게 됩니다.…
메인 설정 파일인 httpd.conf 파일에 아래의 설정을 하게 되면 특정 IP 차단 및 허용 / 대역으로 차단이 가능합니다. ※ httpd.conf 파일의 제일 하단에 아래의…
리눅스에서 파일의 용량이 커서 이를 특정 용량으로 분할압축해야 할 경우 아래와 같은 명령으로 나누어 압축이 가능합니다. # tar cvzf – /home/dhcha | split -b 100m – dhcha.tar.gz –…
vi 으로 파일 수정중 주석이 표시된 행에서 엔터를 치면 공백에도 주석이 붙게 되는데 주석을 계속 이어나갈 경우에는 편리하지만 주석이 많이 필요치 않은 파일에서는 이와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