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글]
– 인증 기관(Certificate Authority, CA)이란?
– SSL 보안 인증서 유형별 타입
– 도메인 제어 유효성 검증 : DCV(Domain Control Validation)
SSL 보안 인증서는 발급 절차에 따라 인증서 등급이 나뉘게 됩니다.
인증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어떤 과정이 필요하고 에는 어떤 등급이 있으며, 각 등급에 따라 발급 절차는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고 차이점은 무엇이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SSL 인증서 등급
1) DV (Domain validation) 인증서
특징 : 저렴한 가격, 간단 검증, 빠른 발급. 낮은 배상금
주요 사용 기관 : 중소기업, 소호몰
2) OV (Organization validation) 인증서
특징 : 인증서 정보에 기관 정보 표기 추가. 높은 배상금
주요 사용 기관 : 대기업, 공공기관
3) EV (Extended Validation) 인증서
특징 : 인증서 정보에 기관 정보 표기 추가. 매우 높은 배상금
주요 사용 기관 : 금융권
2. SSL 인증서 등급에 따른 발급 절차
1) DV 인증서
인증 : DCV 인증
발급 절차 : 도메인 소유 권한만 발급 심사 확인
2) OV 인증서
인증 : DCV 인증 + 회사 정보 인증
발급 절차 : 회사 정보에 대한 추가 인증 (일반적으로 회사 사업체에 대한 전화 인증)
3) EV 인증서
인증 : DCV 인증 + 회사 정보 인증 + @ 추가 서류 인증
발급 절차 : 확약서 등 추가 서류 인증
3. 인증서 정보의 차이
1) DV 인증서

2) OV 인증서

3) EV 인증서
4. 기타 사항
1) 인증서 등급에 따른 보안성에 암호화 강도는 동일하기 때문에 기술적인 차이는 없습니다.
다만, 등급에 따라 발급 심사 절차가 다르기 때문에 EV > OV > DV 순으로 인증서 발급에 신뢰도는 차이가 있습니다.
이와 반대로 발급 편의성은 DV > OV > EV 순이 됩니다.
2) EV 인증서의 경우, 예전에는 브라우저 주소창에 그린바(Green-Bar)를 표시해주었지만 현재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3) 인증서 정보 및 발급 절차는 발급 기관(CA) 및 정책에 따라 내용이 다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참고
SSL 보안 서버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