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닫기

한눈에 보는 RAID

한눈에보는RAID

1. Standalone : 다른 어떤 장치의 도움도 필요 없이 그것만으로 완비된 장치이다.

2. Cluster : 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오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조인이나 자주 사용되는 테이블의 데이터를 디스크의 같은 위치에 저장시키는 방법이다.

3. Hot Swap : 컴퓨터 시스템이 가동중인 상태에서 하드드라이브와 같은 장치들을 교체하는 것이다.

4. RAID 0 (Striped disk array without fault tolerance) : 데이터 입출력을 빠르게 하기 위해 스트라이핑 기법으로 디스크를 묶어주는 방법으로 디스크를 모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데이터가 유실 될 경우 복구가 어렵다.

5. RAID 1 (Mirroring and duplexing) : 미러링 기법으로 두개의 디스크를 하나처럼 사용가능하게 해주나 데이터를 복제하는 과정에서 용량은 1/N으로 줄어든다. 데이터가 유실되어도 복제가 되어 있어 안전하다.

6. RAID 5 (Independent data disks with distributed parity blocks) : 패리티가 있는 3개 이상의 디스크를 묶어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가 유실되어도 나머지 두개의 디스크로 복구가 가능하다.

7. RAID 0+1 : RAID 0과 RAID 1을 결합한 방법으로 디스크 두개를 스트라이핑 기법으로 묶은 다음 미러링 기법으로 다시한번 묶어준다. 고로 RAID 0의 빠른 속도를 활용하면서도 RAID 1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8. 정수기를 보면 이해가 쉽다

 [polldaddy rating=”7739789″]

Subscribe
Notify of
guest
0 Comments
Inline Feedbacks
View all comments
0
Would love your thoughts, please comment.x
()
x